Amazon Web Service 를 통해서
가상 컴퓨터를 생성한 후에 웹서버를 다운로드 하였다.
AWS에 접속한다음에
버튼을 통해서 가상 컴퓨터를 생성할 수 있는 단계로 넘어가게 되며, 여기서 Window Server를 선택하여 생성하였다.
이때 Public Key, Private Key를 생성하였고, 프라이뱃 키는 pem 파일로 저장되는것 같았다.
인스턴스란 가상의 컴퓨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고 넘어가면 될것 같다.
인스턴스 생성 후 생성한 인스턴스를 연결을 할떄는 RDP클라이언트에서 원격 데스크톱 다운로드 통해서 rdp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가상컴퓨터접속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된다, 이때 접속할때 비밀번호가 필요한데 이때 아까 설정한 키페어 비밀번호를 통해서 암호를 받아서 접속 할 수 있다.
이렇게 가상 컴퓨터에 접속 한 후, Window Server 컴퓨터를 만든 것이므로 Web Server 역할을 해주는 TomCat 과 JDK를 다운로드 하였다.
JDK 다운로드 후에는 환경설정에서 PATH와 JAVA_HOME설정을 해준 후 잘 설정되었는지, CMD 를 통해서
java -version, javac -verion을 통해서 설치한 jdk 버전이 잘되었나 확인 할 수 있고,
Tomcat 의 경우는 bin 폴더 안에 startup 을통해서 톰캣을 실행시킨 후 localhost:8080을 통해서 톰캣 서버가 정상
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한 가상 컴퓨터의 톰캣 서버를 외부 컴퓨터에서 접속 하려면 가상컴퓨터의 Firewall을 열어줘야 하고,
여기서 또한 AWS에서도 보안을 열어줘야 한다.
이때
인바운드 규칙에서 새로운 규칙을 설정해 주면 된다. 새 규칙을 정할떄는 해당 톰캣 서버의 포트를 설정해주고 해당 서버의 이름을 지어준다.
Firewall에서 한 내용을 동일하게 AWS 에 접속하여 EC2 대시보드의 보안그룹에서 보안그룹을 클릭 한 후 [인바운드 규칙]을통해서 인바운드 규칙을 하나 동일하게 생성한다.
가상 컴퓨터와 AWS 모두 Firewall 설정을 마친후에 실행중인 인스턴스 정보로 들어와서 퍼블릭IPv4 주소를 복사 한 후 :8080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여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면 설정이 정상적으로 완료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_Apache_Tomc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Tomcat 이미지 설정 (0) | 2023.03.07 |
---|---|
[Tomcat] JNDI 설정 (0) | 2023.02.26 |
[Apache] Apache, Tomcat 연동하기 (0) | 2023.01.03 |
[Apache] Apache 띄우기 (0) | 2023.01.01 |
[AWS] Local에서 AWS 프로그램 실행시키는 방법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