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Spring

[Spring] Controller Return Type

by dev_Step 2022. 1. 20.

Controller 의 return Type

으로

void,

String, 

객체 타입 

등이 있는데 

 

1. void

의경우 return 이없더래도

자동으로 return "ex05"; 로 인식이된다

만약 Controller Mapping 이 되어있을경우 @RequestMapping("/sample/*")

이떄는 return "/sample/ex05"; 가 된다   Controller의 Mapping값과 void함수의 Mapping이 추가되어 페이지를 호출한다.

 

2. String은 계속 사용하니 패스한다.

 

 

3. 객체 타입으로 VO나, DTO타입 등 복합적인 데이터가 들어간 객체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는데 이경우는

주로  JSON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용도로 사용한다 .

이경우 pom.xml에 Jackson-databind를 추가하여야 한다.

 

JSON 데이터가 나오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3.1 ResponseEntity 타입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처리를 할때 사용 할 수 있따.

 

ResponseEntity는 HttpHeaders 객체를 같이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HTTP헤더의 메시지를 가공하는게 가능하다.

 

'dev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ontroller Exception처리  (0) 2022.01.20
[Spring] file-Upload  (0) 2022.01.20
[Spring] Model  (0) 2022.01.20
[Spring] String <-> Date 타입변환  (0) 2022.01.20
[Spring] SQL 어노테이션 사용, XML 사용  (0) 202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