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9

[Spring] 회원가입 페이지 >> 회원가입 페이지는 정적 리소스 이므로 webapp > resources 하단에 파일을 생성해준다. 해당 페이지를 호출 하려면 >> 하단의 경로로 호출 한다. >> 이때 resources 경로를 없앨수 있는데 이는 spring > servlet-context.xml 을 통해서 변경할 수 있다. >> root-context.xml은 Web과 관련없는 Spring 설정을 다룰때 사용한다. >> mapping 을 resources를 지워주고 /**로 설정한다 >> 그러면 다음부터 정적 리소스를 호출할때 resource를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 >> Form 태그 안에서 - 등 다양하게 있는데 Form 태그란 ? >> 문서 양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하여 controller로 전송할때 사용한다, >> - acti.. 2022. 6. 4.
[Spring] Tomcat port 변경 >> Tomcat의 Port 변경은 server.xml 설정을 변경해줘야 한다. >> server.xml 은 2개가 있는데 >>1. 톰캣을 설치했을때의 경로에서 Tomcat 9.0>conf>server.xml 여기서 설정을 바꾸게 되면 톰캣 전체의 설정을 바꾸게 되는것이고, >>2. STS 의 Servers 파일에서 server.xml 을 바꾸게 되면,, 해당 STS 프로젝트 내에서 Tomcat 설정을 따로 지정하여 줄수 있다. 프로젝트 실행시 우선순위는 STS의 설정이 더 우선순위가 있다 (1실행 후 --> 2실행) 즉 늦게 실행된 설정이 적용이 된다. 따라서 프로젝트마다 설정을 다르게 하려면 STS 내에서 Server>server.xml에서 Connect port를 변경하자 2022. 6. 4.
[Spring] ModelAttribute, BindingResult @ModelAttribute >>적용 대상을 Model의 속성으로 자동 추가해주는 애너테이션으로, 반환타입 또는 컨트롤러 매서드의 매개 변수로 사용 가능 >> 즉 Model m --> m.addAttribute() 해서 추가해주던것을 자동으로 해줌 >> 반환 타입 앞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http://localhost:8080/ch2/getYoilMVC5?year=2022&month=6&day=4 실행결과 >> model.addAttribute() 하지 않아도 model을 통해 전달되어 >> browser 에서 2022 // 6 // 4 // 토 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컨트롤러 매개변수 1. 기본형 @RequsetParam 4개의 표현식은 결과적으로 다 같은 말로 >> @ModelA.. 2022. 6. 4.
[Algorithm] 포켓몬 고르기 프로그래머스[초급] 배열안에 포켓몬이 들어있으며, 같은 종류의 포켓몬끼리는 같은 번호로 되어 있다. 주어진배열중에서 내가 고를수 있는 포켓몬의 숫자는 " 총 포켓몬 숫자/2 " 이고 이중에 최대한 많은 종류의 포켓몬을 고를수 있는 숫자를 리턴하라 >>> 내 풀이 1. 일단 Set을 쓰면 중복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사용하려고 하다가, 컬렉션을 사용하지 않고 풀어보려고 for문을 통해서 중복된 숫자를 0 으로 바꿔주고, 해당 배열의 0이 아닌 요소의 숫자를 구해서 중복되지 않은 포켓몬의 숫자를 removeOverlap으로 구했다. 2. 이때 내가 골라야 하는 숫자는 총 포켓몬 숫자의 1/2 이고, 그러면 "내가 골라야 하는 숫자가 " removeOverlap 보다 크게 되면 내가 중복되지 않은 최대한많은 포켓.. 2022. 6. 4.
[Algorithm] 체육복 프로그래머스[초급] 인원수 n , 체육복을 잃어버린 배열1, 체육복의 여벌이 있는 인원 배열2 이 주어질때, 체육복의 여벌이 있는 인원이 3번이라고 하면 체육복을 잃어버린 2,4번중 한명에서 체육복을 빌려줄수 있다 이렇게 최대 몇명이 체육복을 입을수 있는지를 나타내라 내 풀이 ==> 나는 일단 문제를 보고 Map을 이용해서 풀면 간단하겠다라고 생각을 했었다. 1. 그래서 우선 map을 선언하고 맵의 키값에 n명의 숫자를 key 값으로 value값에는 체육복을 1개씩 가지고 있도록 1씩 넣어주었다. 1-1 . 이때 여벌의 체육복이 있는 인원에게는 1개씩 더 해주도록 2중 for문을 돌렸다. 2. 이렇게 총가지고 있는 체육복 수를 넣어주고, 잃어버린 인원을 for문을 통해서 value값에서 잃어버린사람에게는.. 2022. 6. 3.
[Spring] RequestParam @RequestMapping("/requestParam2") //public String main2(RequestParam(name="year" require=false) String year ) public String main2(String year) { // http://localhost/ch2/requestParam2 --> year=null // http://localhost/ch2/requestParam2?year --> year="" (빈문자열) return "yoil"; } 현재 주석 처리되어 있는 부분과 // 주석처리되어 있는 부분 아래는 같은 표현으로 (RequestParam(name="year" require=false) 이부분은 생략이 가능한 부분이다. name의 경우는 JSP에서 .. 2022. 6. 3.
[JAVA] 제네릭스 Box 지네릭 클래스, T의 Box 또는, T Box라고 읽는다. T 타입변수, 또는 타입 매개변수(T는 타입문자) Box 원시타입 지네릭 클래스를 생성할 떄는 다음과 같이 진행해야한다. 참조변수와 생성자에 대입된 타입(매개 변수화된 타입)이 일치해야 한다.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한다. Box appleBox = new Box(); -- OK Box appleBox = new Box(); -- Failed 두타입이 상속 관계에 있더래도 마찬가지이다. Apple이 Fruit의 자손이라고 생각하자 Box appleBox = new Box(); -- Fail.. 타입이 다르다. 단, 두 지네릭 클래스의 타입이 상속관계에 있고, 대입된 타입이 같은것은 괜찮다 FruitBox가 Box의 자손이라고 가정하자 .. 2022. 6. 2.
[Algorithm] 가장 점수가 높은 사람을 리턴 하라 프로그래머스[초급] 1번 학생 : 1,2,3,4,5, ---- 쭉 반복 2번 학생 : 2,1,2,3,2,4,2,5 ---- 쭉 반복 3번 학생 : 3,3,1,1,2,2,4,4,5,5 ---- 쭉 반복 되며 정답 배열 answers[] 가 주어질때 1,2,3번 학생중 가장 많이 맞은 학생을 리턴하라, 만약 동일한 점수의 사람이 있다면 학생 순번이 빠른 순서대로 리턴하라 여태까지 풀면서 가장 오래 걸린 알고리즘 문제였다. 풀이를 설명하자면 1.우선 반복 되는 패턴을 조사하여 1번,2번,3번 학생의 리턴을 배열로 하여 2차원 배열을 선언하여 넣어주었다. 2. 향상된for문을 통해서 arr[]을 꺼내서 answers[] 배열과 정답이 같은지 확인하여 check 변수를 통해서 맞은 갯수를 파악하였고, answer.. 2022. 6. 2.
[Algorithm] K번째 숫자 프로그래머스[초급] 문제는 1개의 배열과, 1개의 2차원 배열이 주어지며, 2차원배열에서는 { {i,j,k},{4,7,5}, {1,6,4} }; 다음과 같이 숫자가 주어지며, array의 i번쨰 부터 j 번재까지를 새로운 배열로 생성 후 정렬한다음에 k번째 가 무엇인지 리턴하시요. 나의 풀이 방법으로는 .. 1. 우선 리턴되야 하는 answer의 배열의 크기는 commands의 길이와 같으므로 answer의 크기를 commands의 길이로 설정했다. 2. array배열의 i ~ j 까지 요소를 담을 sort를 선언하고 3. num , check 를 선언하여 sort의 배열요소를 하나씩 저장할떄 사용하고, answer에 k번쨰를 담을때 사용하였다. 4. commands는 2차원 배열로 향상된 for문을 통.. 2022. 6. 1.
[JAVA] 익명 클래스 익명 클래스란? : >> 익명클래스란 이름이 없는 클래스로써, 객체의 생성및 정의를 동시에 실시합니다. 생성 조건 >> 익명클래스는 자식 클래스로 부모 클래스 또는, 구현 클래스로 생성한다. >> 생성 방법으론 new 부모클래스 or 구현인터페이스() { } 이다. new 부모클래스or구현인터페이스() { //새롭게 정의할 자식클래스 정의 } >> 따라서 생성된 익명의 클래스는 부모클래스 타입으로 참조변수에 대입되거나, 구현한 인터페이스의 참조변수에 대입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생성한 익명 클래스의 접근성은 참조변수 타입이 부모클래스이므로, 익명클래스(자식클래스)에서 생성한 멤버와, 메서드는 사용불가능 하며, 부모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할 경우 재정의된 메서드로 호출이 된다. ================.. 2022. 5. 31.
[JAVA] 인터페이스의 장점 현재 AA 클래스가 BB클래스의 메서드를 사용하는데 만약에 AA클래스가 BB클래스가 아닌 CC클래스를 사용하려면 >> AA클래스가 변경되어야 한다. main안에서도 해당 매서드 사용하는 곳의 매개변수를 바꿔줘야 한다. 이것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AA클래스를 변경하지 않고 main메서드에서 사용할 클래스만 바꿔주면된다. 메서드의 선언과 구현을 분리한다. >> 상속 관계에 있으므로 매개변수로 들어가는 I 부분이 I i = new BB(); I i = new CC(); 이 가능하다. 2022. 5. 31.
[JAVA] 인터페이스의 다형성 >> 인터페이스도 구현 클래스의 부모로 취급한다. 현재 Fighter의 클래스가 Unit과 Fightable을 상속 및 구현하고 있다고 하면 이 가능하다. 다형성에서 배웠다시피,, 상속 관계에 있을때 자손의 인스턴스가 부모의 참조변수를 가르킬 수 있다. 즉 Fightable f = new FIghter(); 의경우는 Fighter가 아무리 많은 멤버를 가지고 있더래도 f의 리모컨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멤버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 >> f.move(), f.attack() >> 인터페이스 타입 매개변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객체만 가능 즉 public void attack(Fightable f) {} 의 경우 >> attack 의 매개변수로는 Fightable 을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만 올수 ..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