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9

[Spring] HttpServeltRequest, HttpServeltResponse, Session 로그인 로그아웃시 세션 생성 및 세션 삭제 방법.. 오랜만에 구현하려고 했더니 생각이 안나서 다시 정리해봤다. 웹브라우저에서 클라인언트로부터 서버로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에서는 HttpServletRequeset가 생성되며, 요청정보에 있는 PATH로 맵핑된 서블렛에게 전달된다. 즉 Client가 Server로 요청을 보내면 해당 Client의 요청에 맞는 Servlet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데 해당 데이터를 Server 측에서 HttpServletRequest로 요청을 받아 들일수 있다. 해당 Client의 요청 데이터를 HttpServletRequest res의 getParameter("변수명") 으로 받을수 있다 String value = res.getParameter("name"); 또한 Model을.. 2022. 3. 10.
[Spring] Bean 생성 Bean 설정을 하면서 Bean 생성이 뭐 어떻게 되는거지 라는의문점이 생겨서 직접 JAVA로 Bean을 생성해 봤다. 일반 Bean의 속성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class : 정규회된 자바 클래스 이름 id : bean의 고유 식별자 scope : 객체의 범위(Singleton, Prototype) -singleton : 하나의 Bean정의에 대해 Spring IocContainer 에서 단 하나의 객체만 존재, (default : singleton) -prototype : 하나의 Bean 정의에 대해서 다수의 객체가 존재할 수 있음 constructor-arg : 생성자에 전달할 인수 property : 생성시 Bean setter에 전달할 인수 init Method와 Destory Method 첫번째.. 2022. 3. 4.
[JUnit] JUnit 사용하여 단위테스트 하기 JUn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ependecy를 추가해줘야 한다. dependecy를 추가해주는데 spring-test를 추가해주는데 이때 version을 선택해줘야 하는데 이때 spring의 버전과 동일하게 맞춰줘야 한다. 이렇게 dependency를 추가하면 @Runwith 어노테이션과 @ContextConfigur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RunWith는 JUnit 프레임워크의 테스트 실행방법을 확장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SpringJUnit4ClassRunner라는 클래스를 지정해주면 JUnit이 테스트를 진행하는 중에 ApplicationContext를 만들고 관리하는 작업을 진행해준다. @RunWith 어노.. 2022. 3. 2.
[외부설정파일 가져오기] property-placeholder 외부 파일 설정시에 사용하는 property-placeholder방법에 대해서 여러가지로 알아보자. property-placeholder를 사용할경우 bean 설정시에 외부 파일에서 정의한 내용을 가지고 사용할수 있다 ${....} 형식으로. 일단 3가지 방법이있다. 1. context property-placeholder를 설정하는방법 2. PropertyPlaceholderConfigurer를 Bean으로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 locations로 위치를 정해주는 방법과, 외부설정파일을 다시 bean으로 등록하여 참조하는 방법이있다. 1. context property-placeholder를 설정하는방법으로는 --root-context.xml에서 등록을 해주는데. 우선 namespace에서 con.. 2022. 3. 2.
[문제해결] The fully qualified name of the bean's class, except if it serves only as a parent definition for child bean definitions. root-context.xml을 통해서 bean등록을 하려고 할경우. "The fully qualified name of the bean's class, except if it serves only as a parent definition for child bean definitions." 라는 경고문구를 본적이 있는가? 이는 해당 class가 dependency등록이 되어 있지 않아서 해당 bean등록을 할 수 없음을 말한다. bean 설정에 필요한 class를 dependency를 추가하면 해결된다. 2022. 3. 2.
[Git-command] GIT 기본 명령어 github 글로벌 설정(협업을 위한 닉네임/이메일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확인시 git config --global user.name[email] 까지만 기본 브런치명 변경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등록 gitignore --> GIT에 등록되지 않아야 할 파일들을 등록한다. (GIT에서 관리하지 않을 파일들 , 설정파일이나 보안파일들) 캡슐에 파일을 담기 git add 파일이름 전체파일 담기 git add . 커밋 하기 git commit VI 메시지 창에서 i 누르고 wq하여 저장하여 종료 커밋메시지와함꼐 작성하기 git commit -m "메시.. 2022. 2. 28.
[DB/Oracle] ORACLE 개념 1. ROWNUM / ROWID -ROWNUM은 where 절에 의해 추출된 data에 ROW단위로 붙는 순번으로 자료의 순서를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고자 할때 유용하게 쓰이는 정보이다. -where절에 ROWNUM을 조건이 들어갈때는 항상 다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data에 의해서 조건이 반영된다. 또한 where절에 rownum으로 = = 등의 연산자를 붙여서 조건절을 만들면 rownum 5 또는 rownum = 5 와 같은 행을 보고 싶다면 IN LINE VIEW를 이용하여 자료를 한번더 가공해야 한다. ** IN LINE VIEW - 서브쿼리가 FROM절 안에서 사용되는 경우 해당 서브쿼리를 '인라인뷰'라고 한다. - FROM절에서 사용된 서브쿼리의 결과가 하나의 테이블에 대한 VIEW처럼.. 2022. 2. 22.
[DB/Oracle] SUB QUERY SUB QUERY : SELECT 한 결과를 조건비교에 사용하거나 UPDATE OR INSERT할때 사용한다. 조건 비교에 SELECT한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는 말은 SELECT, DELETE, UPDATE시의 WHERE절에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 이므로 DML 어디서든 사용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서브쿼리는 InnerQuery, OuterQuery로 구성되어 있다. Query의 조건에서 컬럼과 비교되는 상대값으로 또 다른 쿼리의 결과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사용하면, 또다른 쿼리를 InnerQuery라 하고 InnerQuery에서 나온 결과를 비교조건으로 사용하는 쿼리를 OuterQuery라 칭한다. 서브쿼리를 종류별로 나눠보면 SINGLE ROW, MULTI ROW, MUTI COLUM, C.. 2022. 2. 22.
[DB/Oracle] JOIN join : 두개 이상의 테이블이나 결과를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from절에 조인할 테이블을 기술하고, 조건절에서 테이블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조건을 기술한다. join의 종류를 보면 CARTESLAN PRODUCT, EQUI JOIN, NON-EQUI JOIN, OUTER JOIN, SELF JOIN 등으로 나뉜다, CARTESLAN PRODUCT : 조인절에 조인을 위한 조건을기술하지 않을경우 테이블의 RECORD 곱으로 결과가 생성된다. EQUAL JOIN : 조건절에 기술된 조인 조건을 EQUAL('=') 연산자로 연결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temp, tdept 두 테이블에서 dept_code가 서로 동일한 값만 리턴되어 나오게된다. NON EQUA.. 2022. 2. 19.
[DB/Oracle] union, union all, minus, intersect 집합 연산자 SQL문의 집합간의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연산자로 연결된 SELECT문의 결과 SET이 같은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집합 연산자로 연결된 SELECT문들은 컬럼의 수와, 데이터 형이 순서대로 일치해야 된다. UNION : 합집합(중복자료 배제) UNION ALL : 합집합(중복자료 포함) MINUS : 차집합 INTERSECT : 교집합 4개의 집합 연산자 중에 sort가 발생하지 않는것은 UNION ALL뿐이다. UNION 연산자는 두 DATASET의 합집합을 보여주며, 중복된 ROW가 있으면 그 중 하나의 ROW만을 포함 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정렬 작업을 한다. UNION ALL 연산자는 DATASET의 합집합을 보여주며 중복된 ROW가 있더라도 결과를 모두 .. 2022. 2. 15.